티스토리 뷰
◎ 실습환경세팅하기
메모장에서도 코딩은 가능하지만 왜 안할까?
→ 가독성이 떨어지기 때문
○ 웹 에디터 (편집기)
- HTML문법에 맞추어 편리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편집기
- 문법에 따라 색, 들여쓰기 등을 구분할 수 있음
- 온라인 웹 에디터 : jsbin, replit, condepen 등
○ 통합 개발 환경(IDE)
- 개발을 할 때 필요한 여러가지 툴을 한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할 수 있도록함
- 코드를 작성하기 위한 소스코드 편집기
- 작성한 코드에 문제가 없는지 체크해주는 디버거
-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플러그인
- Visual Studio Code, IntelliJ, X code, Eclipse 등
(실습에는 VScode를 사용)
○ VScode 확장 프로그램
있으면 유용한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해보자.
- auto rename tag : opening tag를 수정하면 closing tag도 자동으로 수정됨
- live server : 하단의 go live를 누르면 가상의 서버가 생기고,
코드를 수정하고 저장하면 브라우저에서 새로고침을 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변경된다.
- pretier : 코드의 잘못된 부분을 찾아 고쳐주는 기능
○ VScode 단축키
● 에디터 창 제어
현재 창 닫기 | ctrl + w |
닫은 창 다시 열기 | ctrl + shift + t |
사이드바 토글 | ctrl + b |
사이드바 - 탐색기 | ctrl + shift + e |
사이드바 - 전체 검색 | ctrl + shift + f |
에디터 확대 | ctrl + + |
에디터 축소 | ctrl + - |
● 소스코드 편집
들여쓰기 | tab or ctrl + ] |
내어쓰기 | shift + tab or ctrl + [ |
아래에 행 삽입 | ctrl + enter |
위에 행 삽입 | ctrl + shift + enter |
현재 행 이동 | alt + ↑ / ↓ |
현재 행 복사 | alt + shift + ↑ / ↓ |
현재 행 삭제 | ctrl + shift + k |
주석 토글 | ctrl + / |
◎ 텍스트 요소
1. 제목태그 - <h1> - <h6>
▶ <h1>이 가장 크고 아래로 갈수록 작아짐
▶ 목차를 만드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음
(단, 제목 단계를 건너뛰는건 피하기. 순서대로 기입하기)
2. 본문
○ <p> : 하나의 문단을 나타냄. 내부에 블럭 요소는 들어오지 못함
○ <br> : 줄바꿈 요소. 들어가는 갯수만큼 엔터처리가 됨. 빈요소로 <br/>로도 씀
○인용 태그
▷<blockquote> : 인용 블럭 요소. 일반 문단과 구분하기 위해 앞쪽에 여백이 자동으로 들어감.
안쪽의 텍스트가 긴 인용문임을 나타냄
▷ <q> : 인라인 인용문 요소. 자동으로 " "(큰따옴표)으로 묶임. 둘러싼 텍스트가 짧은 인라인 인용문임을 나타냄.
+ cite 속성( 공통된 속성) : 인용문의 출처 문서나 메세지를 가리키는 용도로 브라우저에는 나타나지 않음.
○ <pre> : 미리 서식을 지정한 텍스트를 나타내며, HTML에 작성한 내용 그대로를 표현.
텍스트는 보통 고정폭 글꼴을 사용해 렌더링하고, 요소 내 공백문자를 그대로 유지함.
○ <figure> : 독립적인 콘텐츠를 표현. <figcaption>요소를 사용해 설명을 붙임.
피규어, 설명, 콘텐츠는 하나의 단위로 참조됨. <p>를 감쌓을경우 <blockquote>와 같이 앞에 여백이 들어감.
<pre>도 하나의 이미지처럼 처리되어 안에 자식 요소로 들어갈 수 있음.
○ <hr> : 수평선. 문단 레벨 요소에서 주제의 분리를 나타냄. 빈요소로 <hr/>로도 씀.
○ 잘 사용하지 않는 태그
▷ <abbr> : 약어(줄임말)를 설명할 때 사용. 약어에 대한 설명을 title속성에 입력하면
브라우저에서는 커서를 올릴 경우 툴팁으로 나타남.
<abbr title="World Wide Web">WWW</abbr>
▷ <address> : 주소를 의미. 브라우저에서 설정된 이탤릭체로 표시됨.
▷ <cite> : 출처를 나타냄. <blockquote>의 속성으로 들어갈 수 있지만 표시는 되지 않음.
▷ <bdo> : 텍스트가 입력되는 방향을 결정. 기본값은 왼→오로 설정되어있음.
dir 속성으로 방향을 표시.
- rtl : 텍스트를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입력
- ltr : 텍스트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입력
<bdo dir="rtl">abcde</bdo>
3. 텍스트 포매팅
○ <b> : 독자의 주의를 끌기 위한 용도로 요소 안 콘텐츠를 굵은 글씨체로 강조.
텍스트를 꾸밀 목적으로 사용하는건 X → css나 <strong>로 나타내기
그러면 언제 사용하는가?
▶ 요약 키워드, 리뷰의 제품명 등 특별한 중요성은 가지진 않지만 굵게 표시하고 싶은 부분
○ <strong> : 높은 중요도 요소. 중대하거나 긴급한 콘텐츠를 나타냄.
○ <i> : 텍스트에서 주위와 구분해야 하는 부분을 나타냄. 보통 기울임꼴로 표기. 스크린리더가 읽지 못함.
(기술용어, 외국어 구절, 등장인물의 생각 등)
○ <em> : 텍스트의 강세를 나타내는 강세요소. <em>요소를 중첩하면 더 큰 강세를 뜻함.
이탤릭체로 표기되고 스크린리더에서도 강조된 표시로 읽힘.
○ <mark> : 하이라이팅. 현재 맥락에 관련이 깊거나 중요한 부분을 나타냄. 스크린리더가 읽지 못함.
○ <small> : 덧붙임글 요소. 덧붙이는 글이나, 저작권과 법률 표기 등의 작은 텍스트를 지정.
○ <sup> : 위첨자 요소. 활자 배치를 위첨자로 해야하는 인라인 텍스트를 지정.
○ <sub> : 아래첨자 요소. 활자 배치를 아래첨자로 해야하는 인라인 텍스트를 지정.
○ <del> : 문서에서 제거된 텍스트의 범위를 나타냄. 취소선형태로 나옴.
○ <ins> : 문서에서 추가된 텍스트의 범위를 나타냄. 밑줄형태로 나옴.
○ <code> : 인라인 코드 요소. 짧은 코드 조각을 나타내는 스타일을 사용해 자신의 콘텐츠를 표시.
여러줄의 코드를 나타내려면 <code>요소를 <pre>로 감싸기.(<code>는 코드 한 줄만 표시함)
○ <kbd> : 키보드 입력 요소. (css설정으로 외형 만들기)
4. a태그와 하이퍼링크
○ <a> : 앵커 요소. href속성을 통해 다른 페이지나 같은 페이지의 어느 위치, 파일, 이메일 주소 등
다른 URL로 연결할 수 있는 하이퍼링크를 만듬. <a>안의 콘텐츠는 링크 목적지의 설명을 나타내야함.
▷ href에 들어갈 수 있는 경로
- 절대경로 : 현재 위치와 관련없이 정해진 주소로 가는 url
- 상대경로 : 현재 위치에서 다른 파일로 가는 경우.
- 이메일 : mailto:이메일주소
- 전화 : tell:전화번호
<a href="url">목적지</a> //절대경로
<a href="폴더명/파일명.html">목적지</a> //상대경로
▷ target속성 : 링크한 URL을 표시할 위치.
- _self : URL을 현재 브라우징 맥락에 표시. → 기본값
- _blank : URL을 새로운 브라우징 맥락에 표시. 보통은 새 탭이지만 새 창으로 설정할 수 있음.
- _parent : URL을 현재 브라우징 맥락의 부모에 표시. 부모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기본값으로 설정.
- _top : URL을 최상단 브라우징 맥락(제일 높은 맥락)에 표시. 부모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기본값으로 설정.
5. 엔티티(Entity)
앰퍼샌드(&)로 시작하고 세미콜론(;)으로 끝나는 텍스트 조각("문자열").
엔티티는 예약된 문자(그렇지 않으면 HTML 코드로 해석됨)와 보이지 않는 문자(예: 줄 바꿈하지 않는 공백)를 표시하는 데 자주 사용됨. (표준 키보드로 입력하기 어려운 다른 문자 대신 사용할 수도 있음)
https://www.w3schools.com/html/html_entities.asp
<pre>
이것은 문단을 나타내는 <p>입니다.
</pre>
위 코드를 찍어보면?
<p>가 태그로 인식되어 나타난다.
이러한 경우 엔티티를 사용해보자.
<pre>
이것은 문단을 나타내는 <p>입니다.
</pre>
'코딩 > 코딩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 객체(+window객체), 변수와 상수 (0) | 2023.01.14 |
---|---|
[JavaScript] DOM (0) | 2023.01.07 |
HTML정리 - 임베디드 요소 (0) | 2022.11.12 |
HTML정리 - 구조를 나타내는 요소 (0) | 2022.11.12 |
HTML 정리 (0) | 2022.1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