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 웹 서비스의 동작원리 : 브라우저가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의 응답을 출력한다.

◎기본 구조

-HTML : 뼈대

-CSS : 살(꾸미기)

-Javascript : 근육(움직임)

 

●HTML 

-기본적으로 <head>와 <body>로 이루어져있다.

 <body>에는 웹페이지에 보이는 내용을 넣고

 <head>에서는 <body>의 내용물에 대한 설정을 한다.

 

●주요태그 살펴보기


로그인 페이지를 만들어보자!

 

우선 만들고자 하는 결과물을 보면서 따라하자

1. 제목 만들기

'로그인페이지'가 제목이므로 <body>에 <h1>태그로 넣어준다.

<h1>로그인 페이지</h1>

2. ID,PW 넣기

주요태그 목록에 있는 <input>태그를 사용하자. 여기서 PW입력칸의 내용을 안보이게 하고 싶다면 type=password를 사용한다.

ID<input type="text">
PW<input type="password">

 

3. 버튼 넣기

<button>태그를 사용하자.

<button>로그인하기</button>

여기까지 한 걸 출력해보면?

<h1>을 제외한 모든 내용물이 한 줄로 출력된다. 그렇다면 문단으로 묶어 줄을 바꾸어주자.

어떻게?

<p>태그 활용하기 (<br/>이라는 줄바꿈태그도 있다.)

<h1>로그인 하기</h1>
<p>ID<input type="text"></p>
<p>PW<input type="password"></p>
<button>로그인하기</button>

완성!


여기에 css를 해준다면 더 그럴싸하게 만들 수 있다.

●CSS란? 

<body>안의 내용물을 꾸며주는 것으로 <head>안에 <style>태그 안에서 이루어진다.

꾸며주기 위해서는 '무엇을'이라는 지칭이 필요하기 때문에 <body>내에서 명칭을 달아주어야 한다.(class="")

 

css에는 부모-자식 구조가 존재하는데, 때문에 상위 태그에 걸어둔 스타일 설정이 함께 걸려있는 하위 태그에도 걸린다.

●자주 쓰이는 css

-배경관련

background-color: 배경색을 지정해 줄 때의 속성

background-image: 배경 이미지를 정할 때의 속성

background-size: 배경 이미지 크기를 정하는 속성

-사이즈

width: 선택한 부분의 너비를 정하는 속성

height: 선택한 부분의 높이를 정하는 속성

-폰트

font-size: 글자 크기를 정하는 속성

font-family: 글꼴을 정하는 속성

color: 글자 색을 정하는 속성

-기타

text-align: 블록(덩어리) 요소의 가로 정렬을 정하는 속성

margin: 블록의 바깥쪽 여백을 정하는 속성

padding: 블록의 안쪽 여백을 정하는 속성


위에 만들어 둔 로그인페이지를 꾸며보자

1. 로그인 페이지 제목이 박스 형태로 내부에 들어있고 하단에 글자가 들어가 있다.

우선 구역을 만들어 박스 형태로 만들어야한다.

<div>로 구역을 만들어 안에 내용물을 넣자.

<div>
	<h1>로그인 페이지</h1>
    <h3>코딩의 시작, 띵동코딩</h3>
</div>

2. css로 박스를 꾸며주자.

먼저, 꾸미기 위해서는 명칭을 달아주어야하므로 이름을 달아준다.

<div class="mytitle">
	<h1>로그인 하기</h1>
	<h3>코딩의 시작, 띵동코딩</h3>
</div>

다음, 저 구역의 크기를 만들어준다. 그런데 지금은 눈에 보이지 않으므로 배경색을 넣어서 눈에 보이게 해주자.

<style>
	.mytitle {
    	background-coloe : green;
    }
</style>

가로길이가 화면에 꽉 차있는 게 보인다. 그럼 이제 크기 조정을 해주자. (결과물과 비교 해보면서 얼추 맞춰주기)

박스의 모서리가 둥그므로 조정해준다.

.mytitle {
    background-color: green;
    width: 300px;
    height: 250px;
    
    border-radius : 10px;
}

2. 박스 내부의 글자를 가운데로 정렬해주자.

내부의 내용물을 정렬하기 위해서 display-flex를 사용하자.

(자주 쓰이는 css이므로 통째로 가져다 붙이는게 편하다.)

.mytitle {
    background-color: green;
    width: 300px;
    height: 250px;

    border-radius: 10px;

    display: flex;
    flex-direction: column;
    justify-content: center;
    align-items: center;
}

3. 박스에 이미지를 넣자.

이제 배경색은 필요가 없으므로 지우고 대신 이미지를 넣는다.

background-image: url('https://static.spartacodingclub.kr/media/main_carousel/1kq0i51tuqc2kfzp.png');
background-position: center;
background-size: cover;

url대신 원하는 이미지파일을 html파일과 같은 폴더에 넣은 후 ('')안에 해당 이미지파일 제목을 써도 된다.


+

4. 버튼도 꾸며보자

우선, 버튼에도 명칭을 달아준다.

배경색(brown)을 넣어주고 글자색을 변경한 다음, 크기와 모서리를 조정해주자.

.mybtn {
    background-color: brown;
    color : white;
    width: 300px;
    height: 50px;
    border-radius: 10px;
}

결과물에서는 테두리선이 없으므로 없애주자

border : none;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