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ndow.localStorage localStorage속성은 현재 도메인의 로컬 저장소에 접근할 수 있게 도와주는 속성이다. 로컬 저장소는 웹 브라우저에서 각 도메인에 대해 할당해주는 저장공간으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데이터 보관시에는 데이터의 이름(key)과 데이터의 실제 값(value)을 각각 지정하며, 이때 데이터 타입은 문자열 형태만 허용된다. 더보기 🔍 영구적으로 보관한다는 것은? 브라우저를 껐다가 켜거나 페이지를 새로고침해도 해당 페이지에 데이터가 남아있도록 할 수 있다는 것 💡 로컬 스토리지는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을까? 크롬의 경우 개발자도구의 application 하위 폴더에서 Local Storage를 확인할 수 있다. 📍 로컬 스토리지 사용법 로컬스토리지로부터..
🔖 객체 사전적인 의미는 실세계에 존재하는 대상 또는 생각할 수 있는 어떤 개념 🔍 자바스크립트에서의 객체란? 값 또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데이터 즉, 소프트웨어적 사물로써 어떤 사물이나 개념을 소프트웨어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문법적 수단이다. 🏷️ 최초의 객체 : 웹 브라우저 웹 브라우저는 소프트웨어에 세계에 존재하는 사물, 즉 객체이다. 자바스크립트는 웹 브라우저라는 객체에게 명령을 내리기 위해 사용하는 언어로,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에게 명령을 내릴수 있도록 돕기 위해 웹 브라우저와 관련된 다양한 객체들을 제공한다. 그 중 대표적인 객체는 window객체이다. 📎 자바스크립트 코드 내에서 window를 입력하면 웹 브라우저에 접근할 수 있다. 🏷️ 객체 사용하기 객체는 값 또는 기능을 가지고 ..
🔍 koans???? = 불교에서 유래된 단어로, 결론을 내리기 전에 이게 왜 맞는지 깊게 고민한다는 의미를 가짐 (각 주제의 문제를 해결하면서 알게 된 부분을 위주로 적어보겠다!) ► 01_Introduction 첫 번째 주제에서는 '기대하는 값'과 '결과로 나온 값'이 같은지 알아보는 expect함수를 사용했다. expect(테스트하는값).기대하는조건 여기서 기대하는 조건에 들어가는 함수를 'matcher'라고 부른다. expect(1+1).to.equal(2) // sum(1+1)의 결과값은 2와 같아야함 expect(true)to.be.true // 테스트하는 값이 true여야함 기대하는 값은 표현식 이거나 함수의 실제 실행 결과이다. (기대하는 조건에 들어가는 함수는 여러가지가 있지만 수업에서는..
◎ 반복문이란? 자바스크립트의 대표적인 제어문 중 하나 코드를 불필요하게 중복해서 작성하지 않아도 컴퓨터가 반복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 반복문을 왜 써야할까? 구구단을 출력하는 코드를 짠다고 가정해보자. 먼저 2단을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하고 동작이 마무리되면 다시 3단을 출력하고... 컴퓨터가 같은 동작을 반복하는 동안 우리는 계속 코드를 입력해주어야 할것이다. 이때 반복되는 코드를 자동으로 반복하도록 한다면 시간적인 측면에서나 가독성에도 좋을것이다. ◎ for문 자바스크립트의 대표적인 반복문 ▶ for문 형식 for ( 초기값; 조건식; 증감식 ){ 실행할 코드; } 초기값 : 증감식 반복횟수를 카운트하는 역할을 하는 변수(주로 정수를 의미하는 integer의 약자인 i를 사용) 초기값은 반복..
컴퓨터는 작성된 코드를 위에서 아래 순서로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그런데 어떤 경우에 따라 다른 코드가 실행되게 하고 싶다면?? → 조건문을 활용하자 ◎ if문 가장 대표적인 조건문 주어진 조건식의 참(true)/거짓(false) 여부에 따라 실행이 결정됨 → boolean타입이 되도록 작성해야한다. if ( 조건식 ) { 내부 코드 } 조건식이 참(true)으로 평가되면 코드블록 내부의 코드가 실행된다. 조건식을 상황에 맞게 작성하면 특정 상황에만 코드가 실행되도록 할 수 있다. boolean타입에서 사용한 연산자를 이용하여 조건식을 만들어보자! ● 동치 연산자(===) - 두 피연산자가 동일하면 true, 아니면 false로 반환됨 - !==는 반대로 반환 let nickname = 'kiji'; if..
◎ 변수 : 데이터를 담는 메모리(보관함)의 이름 변수를 통해 메모리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사용한다. 어떻게? 더보기 1. 보관함 확보하기 → 변수 선언(declaration) 2. 보관함에 데이터 저장하기 → 변수에 값을 할당(assignment) 3. 데이터 사용하기 1) 변수의 선언과 할당 1. 변수 선언 - 특정 데이터를 컴퓨터가 기억할 수 있도록 메모리 공간을 확보하고 그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부여하는 것 - 변수를 선언하는 키워드 사용 변수를 선언하는 키워드는 세 가지가 있다. 1. var : 변수 중복선언 허용(에러 발생 X), 함수 레벨 스코프, 변수 Hoisting 2. let : 변수 중복선언 금지, 블록 레벨 스코프, 변수 Hoisting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 3. const :..
◎Type(타입) :값(value)의 종류 우리는 평소 여러가지 표현으로 정보를 전달한다. '오늘은 2022년 12월 18일 입니다.' , '아메리카노 5000원' , 100 > 24 등등 말이나 글로써 정보를 표현한다. 위 정보에서 2022, 12 등을 문자가 아닌 숫자로 표현한 이유는 뭘까? 정보를 전달받는 사람의 가독성을 높여주기 위함이다. 때문에 숫자나 부등호 기호를 문자열이 아닌 숫자, 기호 그 자체로 분류하고 표현하게 된다. javascript에서도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값을 사용한다. 여기서도 자주 쓰이는 값은 분류를 하게 되고, 분류된 각 타입은 고유한 속성과 메서드를 갖게된다. ● 타입의 종류 - 원시타입 : 변경 불가능한 값 ▶ 종류 ① Number ② String ③ Boolean ④..